본 글에서는 데이터 기반 리치 키워드 발굴의 전략과 그 과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루와콘텐츠그룹 박수연
.png?table=block&id=1d7a7e94-8204-80ae-aace-ffd7594dc200&cache=v2)
오늘날 마케팅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검색 상위에 노출되는 키워드 하나의 가치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단순히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보다 전환을 이끄는 ‘리치 키워드(Rich Keywor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리치 키워드(Rich Keyword)란?
리치 키워드는 검색 결과에서 일반적인 검색 결과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환경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키워드이다.
ex) 스마트스토어 제작 > 스마트스토어 상세페이지 구성하는 법
하지만 과연 어떤 키워드가 ‘리치’한가? 단순히 검색량만으로 판단해도 될까?
.png?table=block&id=1d7a7e94-8204-8059-a057-eae332f409ba&cache=v2)
전환 중심 마케팅의 핵심은 ‘검색→클릭→구매’로 이어지는 고객 퍼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설계하느냐이다.
검색량이 많아도 전환율이 낮다면 효율은 떨어진다. 반면 검색량이 적더라도 구매 전환으로 직결되는 키워드는 ROI 측면에서 훨씬 강력한 자산이다. 포함하는 의미의 스펙트럼이 넓은 브랜드 키워드보다 전환 중심의 롱테일 키워드가 구매 행동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
.png?table=block&id=1d7a7e94-8204-80ca-a2c6-d6e72528a3f9&cache=v2)
리치 키워드 발굴의 5단계
1. Target Segmentation
- 해당 제품이 필요한 이유를 고민하며 고객의 니즈를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 상황, 성별, 연령대 등의 기준을 활용하여 타깃을 구분한다.
- 타깃군 중에서 구매 확률이 높은 타깃을 선별하여 구체화한다.
ex) 커머스 루와: 초보 창업자 / 대행사를 선택하려는 자 / 판매 실패 경험을 해결하려는 자
2. Search Signal Mining
- 무엇을 검색하는가? 언제 검색하는가?
- 네이버 데이터랩, Google Trends, 키워드마스터 등을 활용해 검색량의 흐름을 파악한다.
- 단순 월간 평균 검색량이 아닌, 시즈널리티(계절성), 시점별 집중도, 그리고 검색자의 맥락(ex. 온라인 광고 방식과 비용 vs 성공적인 온라인 판매 전략)을 분석한다.
- 동시에 관련 키워드 확장을 통해 카테고리 내 유사 검색어와의 전환 경쟁력을 비교한다.
3. Intent Profiling
- 키워드를 검색한 사람이 어떤 ‘의도(Intent)’를 갖고 있는지를 분류한다.
- 정보 탐색, 비교, 구매 직전 등 구매 여정 단계별로 키워드를 재정렬한다.
- 탐색형: “저비용 마케팅 대행사”, “광고 대행사 후기” 비교형: “구글 광고 vs 네이버 광고” 전환형: “서울 마케팅 대행사 추천”, “온라인 광고 맡기기”
4. Conversion Data Matching
- 타깃 랜딩 페이지별 전환율, 이탈률, 클릭률 등과 키워드를 연결해본다.
- 광고 캠페인 A의 전환 키워드 1위가 “온라인 광고 방식과 비용”이라면, 이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사 표현을 리스팅해 리치 키워드 풀을 확장한다.
- 전환 KPI는 ‘키워드 → 클릭 → 페이지 체류시간/전환 버튼 클릭 → 구매 완료’의 흐름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다.
5. Rich Keyword Clustering
- 발굴한 키워드를 의도 및 전환 성과에 따라 A/B/C 그룹으로 구분해 (혹은 순위를 매겨) 운영 전략을 수립한다.
- A군: 높은 검색량 + 높은 전환율 (핵심 투자 키워드)
- B군: 낮은 검색량 + 높은 전환율 (니치 마케팅용 롱테일 키워드)
- C군: 높은 검색량 + 높은 이탈률 (콘텐츠 전환 보완이 필요한 키워드)
.png?table=block&id=1d7a7e94-8204-8074-963e-c32cf28fd799&cache=v2)
활용 툴 예시
도구 | 기능 | 활용 팁 |
네이버 키워드 도구 | 월간 검색량, 클릭률, 경쟁 강도 | 유사 키워드 자동 확장 기능 활용 |
키워드 마스터 | 네이버 / 구글 실시간 키워드 | 전환 키워드 로그 기록 가능 |
키자드 | 연관키워드 / 자동완성 키워드 | 키워드 포함 네이버 게시글 수 |
구글 트렌드 / 애널리틱스 | 유입 키워드와 전환 흐름 분석 | SEO 효율 최적화 |
.png?table=block&id=1d7a7e94-8204-8051-b645-e0bf147be3e2&cache=v2)
데이터 해석이 리치 키워드를 만든다.
리치 키워드는 단순히 ‘많이 검색되는 단어’가 아니다. 사용자의 맥락, 의도, 구매 전환과 맞물려 작동하는 고효율 키워드다. 검색량과 전환 데이터를 함께 보는 복합적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수많은 지표 중 어떤 데이터를 왜 봐야 하는지 이해하는 능력이 마케터의 핵심 경쟁력이 된다.
리치 키워드 전략은 곧 광고 효율을 끌어올리는 정교한 크리에이티브 설계의 기반이 된다. 단순한 SEO 시대를 지나, 진짜 마케팅 성과는 키워드 선정의 정교함에서 갈리는 것이다. 따라서, 리치 키워드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전략적 적용은 앞으로 광고 성과를 좌우하는 결정적 변수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Designed by Freepik